전공 | 과정 | 교과번호 | 과목명 (과목영문명) | 이수구분 | 학점/이론/실습 |
---|---|---|---|---|---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007 |
작업치료연구방법론Ⅰ
Research Method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Ⅰ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111 |
인지재활
Cognitive Rehabilitation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215 |
체계적 고찰
Systematic review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008 |
작업치료연구방법론Ⅱ
Research Method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Ⅱ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121 |
라이프스타일리디자인
Lifestyle Redesign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ZZ024 |
석사 논문 연구
Research for the Master's Thesis
|
논문연구 | 2 / 2 / 0 |
전공 | 과정 | 교과번호 | 과목명 (과목영문명) | 이수구분 | 학점/이론/실습 |
---|---|---|---|---|---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09 |
인간공학
Ergonomic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3 |
식생활과 연하장애
Feeding and Swallowing, Dysphagia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6 |
사람, 환경, 작업의 상호작용
Person, Environment, Occupation Interac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30 |
임상사례연구
Clinical Case Stud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07 |
신경과학 특론Ⅰ
Advanced Neuroscience Ⅰ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09 |
작업 분석
Occupational Analysis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0 |
임상신경과학특론
Advanced Clinical Neuroscience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2 |
장애아동의 이해
Understanding of disabled childre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3 |
작업치료연구디자인
Research Design for Occupational Therap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4 |
인지신경과학특론
Advanced Cognitive Neuroscience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003 |
근거중심 작업치료
Evidence-Based Occupational Therap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05 |
세미나
Seminar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0 |
지역사회작업치료
Community Base Occupational Therap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2 |
사회 참여와 환경
Social Participation and Enviroment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5 |
고령친화산업과 작업치료
Aging Industry & Rehabilita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6 |
노인재활특론
Advanced Geriatric Rehabilita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9 |
리더십과 창의력
Leadership and creativit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2 |
아동의 공동작업의 의미
Meaning of co-occupation in Childhood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5 |
평가의 이해와 해석
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for Assessment Tools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7 |
감각통합이론과 실제
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9 |
재활팀내의 의사소통
Communication in Rehabilitation Team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08 |
신경과학 특론Ⅱ
Advanced Neuroscience Ⅱ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1 |
재활신경과학최신지견
Current opinion in Neuroscience for Rehabilita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8 |
작업의 참여
Participation of Occupa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31 |
보조공학
Assistive Technology
|
전공 | 3 / 3 / 0 |
전공 | 과정 | 교과번호 | 과목명 (과목영문명) | 이수구분 | 학점/이론/실습 |
---|---|---|---|---|---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007 |
작업치료연구방법론Ⅰ
Research Method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Ⅰ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111 |
인지재활
Cognitive Rehabilitation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215 |
체계적 고찰
Systematic review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008 |
작업치료연구방법론Ⅱ
Research Method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Ⅱ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EO121 |
라이프스타일리디자인
Lifestyle Redesign
|
전공 | 3 / 3 / 0 |
공통전공 | 석박교육과정 | EZZ024 |
석사 논문 연구
Research for the Master's Thesis
|
논문연구 | 2 / 2 / 0 |
전공 | 과정 | 교과번호 | 과목명 (과목영문명) | 이수구분 | 학점/이론/실습 |
---|---|---|---|---|---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09 |
인간공학
Ergonomic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3 |
식생활과 연하장애
Feeding and Swallowing, Dysphagia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6 |
사람, 환경, 작업의 상호작용
Person, Environment, Occupation Interac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30 |
임상사례연구
Clinical Case Stud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07 |
신경과학 특론Ⅰ
Advanced Neuroscience Ⅰ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09 |
작업 분석
Occupational Analysis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0 |
임상신경과학특론
Advanced Clinical Neuroscience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2 |
장애아동의 이해
Understanding of disabled childre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3 |
작업치료연구디자인
Research Design for Occupational Therap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4 |
인지신경과학특론
Advanced Cognitive Neuroscience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003 |
근거중심 작업치료
Evidence-Based Occupational Therap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05 |
세미나
Seminar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0 |
지역사회작업치료
Community Base Occupational Therap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2 |
사회 참여와 환경
Social Participation and Enviroment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5 |
고령친화산업과 작업치료
Aging Industry & Rehabilita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6 |
노인재활특론
Advanced Geriatric Rehabilita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19 |
리더십과 창의력
Leadership and creativity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2 |
아동의 공동작업의 의미
Meaning of co-occupation in Childhood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5 |
평가의 이해와 해석
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for Assessment Tools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7 |
감각통합이론과 실제
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9 |
재활팀내의 의사소통
Communication in Rehabilitation Team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08 |
신경과학 특론Ⅱ
Advanced Neuroscience Ⅱ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211 |
재활신경과학최신지견
Current opinion in Neuroscience for Rehabilita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28 |
작업의 참여
Participation of Occupation
|
전공 | 3 / 3 / 0 |
작업치료분야 | 석박교육과정 | EEO131 |
보조공학
Assistive Technology
|
전공 | 3 / 3 / 0 |